<만큼>과 <뿐> <대로> 붙여쓰기 <만큼> <뿐> <대로> 띄어쓰기 ※체언 뒤에서는 조사로 쓰이므로 붙여 쓴다. <보기1> 저 도서관만큼 크게 지으시오. / 숙제를 해 온 학생은 철수뿐이었다. / 약속대로 되었다. (명사 뒤) <보기2> 애쓴 만큼 얻게 되어 있다. / 허공만 응시할 뿐 아무 말이 없었다. / 바른 대로.. ▒ 교육◈/◐우리말 2016.02.26
‘만’ 띄어쓰기 ‘만’의 띄어쓰기 <보기1> 이거 얼마 만인가? / 집 떠난 지 3년 만에 돌아왔다. ☞ “동안”의 뜻. 의존명사 ※‘오랜만에, 오랫동안’의 구별에 주의 <보기2> 철수만 오다 / 공부만 하다 ☞ “한정”의 뜻. (보조사) <보기3> 형만 한 아우 없다 / 짐승만도 못하다 / 호랑이만 하다.. ▒ 교육◈/◐우리말 2016.02.26
‘안’ ‘못’ 붙여쓰기 부정문일 때 띄어쓰기 ‘안’ ‘못’ 띄어쓰기 ※부정문으로 쓰인 경우가 아니면 붙여 쓴다. <보기1> 마음이 안되다 / 시험에 실패했다니 참 안되었다. (형용사) <보기1-1> 일이 안 되다 / 시간이 아직 안 되었다. <보기2> 못된 친구 / 행동이 못되다 / 심보가 못되다 (형용사) <보기2-1> 외교관이 못 .. ▒ 교육◈/◐우리말 2016.02.26
<중> 띄어쓰기 <회의중>인가, <회의 중>인가 한 단어로 굳어진 경우가 아니면 ‘중(中)’을 띄어 씀. <보기1> 학생 중에, 꽃 중의 꽃 <보기2> 회의 중에는 사담을 하지 말 것, 다리를 건설 중이다 <보기2-1> 지금 [중요한 회의] 중이오니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 ※구 뒤에 ‘중’이 붙는.. ▒ 교육◈/◐우리말 2016.02.26
<그동안> 붙여쓰기 <그 동안>인가, <그동안>인가 ‘고등 학교, 그 동안, 전라 북도, 솔선 수범, 금수 강산, 태백 산맥, 의존 명사’ 띄어쓰기? <보기1> 초등학교/고등학교, 그동안, 전라북도, 솔선수범, 금수강산, 태백산맥, 의존명사 같이 붙여 씀. ※‘그간, 그사이’와 동의어로 쓰이는 ‘그동안.. ▒ 교육◈/◐우리말 2016.02.25
<-어지다> <-어하다>붙여쓰기 <-어지다> <-어하다>의 띄어쓰기 <보기1> 이루어지다, 예뻐지다, 잘 만들어졌다 ※‘-어지다’,‘-어하다’는 앞말의 품사를 바꾸는 경우가 있어 일률적으로 붙여 쓴다. <보기2> 행복해하다, 애통해하다 ▒ 교육◈/◐우리말 2016.02.25
<등(等)> <및> <들> 의존명사-띄어쓰기 보조사-붙여쓰기 <등(等)> <및> <들> 띄어쓰기 ※‘등(等)’은 의존명사이므로 항상 띄어 쓴다. <보기1> 책상, 걸상 등이 있다. <보기2> 사장과 이사장 및 이사들 ※‘및’과 ‘와/과’의 차이: ‘와/과’는 앞말과 뒷말이 대등할 때 쓰이나, ‘및’은 앞말이 뒷말에 비해 중심이 될 때 쓰.. ▒ 교육◈/◐우리말 2016.02.25
제 6 장 그 밖의 것 ( 제51항 , 제52항 , 제53항 , 제54항 , 제55항 , 제56항 , 제57항 ) 제51장 부사의 끝음절이 분명히 '이'로만 나는 것은 '-이'로 적고, '히'로만 나거나 '이'나 '히'로 나는 것은 '-히'로 적는다. 1. '이'로만 나는 것 가붓이 깨끗이 나붓이 느긋이 둥긋이 따뜻이 반듯이 버젓이 산뜻이 의젓이 가까이 고이 날카로이 대수로이 번거로이 많이 적이 헛되이 겹겹이 .. ▒ 교육◈/◐우리말 2016.02.25
제 4 절 고유 명사 및 전문 용어 ( 제48항 , 제49항 , 제50항 ) 제48항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 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어, 관직명 등은 띄어 쓴다. 김양수(金良洙) 서화담(徐花潭) 채영신 씨 최치원 선생 박동식 박사 충무공 이순신 장군 다만, 성과 이름, 성과 호를 분명히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띄어 쓸 수 있다. 남궁억/남궁 억 독고준/독.. ▒ 교육◈/◐우리말 2016.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