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석(Tide)
해수면이 가장 높을 때를 "만조"(滿潮)
가장 낮을 때를 "간조"(干潮) 라 한다.
간조와 만조를 아울러 "간만"(干滿)이라고 한다
만조는 매 12시간 24분마다 일어난다.
12시간은 지구의 자전, 24분은 달의 공전 때문이다.
만조와 간조 사이의 해수면의 높이 차를 "간만의 차" 또는 "조차"(潮差)라 한다.
간조에서 만조까지 바닷물이 밀려들어오는 것을 '밀물'
만조에서 간조까지 바닷물이 빠지는 것을 '썰물'
밀물과 썰물 시의 흐름을 조류(潮流)라고 한다
간만의 차도 계속 변화한다.
보름달이나 그믐달 때에는 태양- 지구- 달이 같은 선 위에 놓여 태양의 조석력이 달의 조석력에 합쳐진다.
이 시기의 만조를 '사리'라 한다.
반달(상현이나 하현) 때에는 태양과 달이 지구를 중심으로 90° 위치에 놓여 서로 조석력이 상쇄된다.
이때를 '조금'이라고 한다.
지구와 달의 거리 역시 간만의 차에 영향을 준다.
달이 근지점에 있을 때는 조차가 더 커진다.
조석(tides)- 달과 태양 그리고 지구의 운동에 의한 주기적인 해면 변동을 말한다.
조석은 지구 둘레의 반에 해당하는 파장으로 모든 해파 중에서 가장 긴 파이다
B.C. 300년 경 그리스 탐험가 피테아스(Pytheas)가 달의 위치와 조고의 관계를 기술한 기록이 있지만,
조석에 대한 완전한 이해는 아이작 뉴턴의 중력에 대한 해석 이후에야 가능해졌다.
뉴턴-
1687년 발표된 유명한 프린키피아(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에
행성, 달 그리고 중력장에서의 모든 천체들의 운동이 잘 기술되어 있다
중심 주제는 두 물체 사이의 만유인력은 두 물체의 질량에 비례하고
두 물체 간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것이다
질량이 큰 물체는 질량이 작은 물체보다 더 강하게 끌어당기고 거리가 멀어지면 당기는 힘은 급격히 약해진다
조석을 일으키는 주요 천체는 달과 태양이며,
실제 조석을 일으키는 힘의 크기는 지구 중심으로부터
조석을 일으키는 각 천체(달과 태양)의 중심 간의 거리의 3승에 반비례한다
기조력(조석을 일으키는 힘)에서는 거리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태양의 질량은 달의 질량의 2,700만 배이나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달에 비해 387배 더 멀리 떨어져 있다.
따라서 태양의 기조력은 달의 기조력의 46%에 지나지 않는다.
뉴턴의 조석이론
'평형조석론'은 일차적으로 인력은 지구, 달 그리고 태양의 상호 위치에 의해서만 결정되며,
수심이나 대륙의 분포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전제에서 시작한다
평형조석론
평형조석론은 행성들이 태양 주위 궤도를 그리고
달이 지구 주위 궤도를 따라 공전하는 힘들의 평형에서부터 출발한다.
평형조석론은 해면이 변형에 영향을 주는 힘에 즉각 반응한다는,
즉 해면은 자신에 미치는 힘과 항상 평형을 이루고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해양조석의 여러 가지 특성들을 평형조석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라플라스-
얕은 수심에서의 장파 속도, 해수의 운동 등을 고려한 조석이론 '동력학적 조석론'을 발표하였다
동력학적 조석론
동력학적 조석론(dynamic theory of tides)은 뉴턴의 천체역학의 업적 위에
유체운동에 관한 이론이 더해진 것으로 1775년 라플라스에 의해 제기되었다
조석 기준면(tidal datum)
조석의 높이를 재는 기준면
조류(tidal current)
조석에 의한 해면의 상승과 하강에 수반된 해수의 흐름
만조(high tide)
조수의 간만에 의해 바닷물이 가장 꽉 차게 들어왔을 때의 밀물
간조(low tide)
바다에서 간수가 빠져나가 해수면이 가장 낮아진 상태
음력과 물때(마)의 관계 | |
음력 |
물때 |
1 |
7물(마) |
2 |
8물(마) |
3 |
9물(마) |
4 |
10물(마) |
5 |
11물(마) |
6 |
12물(마) 한객기 |
7 |
13물(마) 두객기 |
8 |
14물(마) 조금 |
9 |
15물(마) 무쉬 |
10 |
(16)-1물(마) |
11 |
(17)2물(마) |
12 |
(18)3물(마) |
13 |
(19)4물(마) |
14 |
(20)5물(마) |
15 |
(21)6물(마)사리 |
16 |
(22)7물(마)사리 |
17 |
(23)8물(마) |
18 |
(24)9물(마) |
19 |
(25)10물(마) |
20 |
(26)11물(마) |
21 |
(27)12물(마) 한객기 |
22 |
(28)13물(마) 두객기 |
23 |
(29)14물(마) 조금 |
24 |
(30)15물(마) 무쉬 |
25 |
1물(마) |
26 |
2물(마) |
27 |
3물(마) |
28 |
4물(마) |
29 |
5물(마) |
30 |
6물(마) 사리 |
보름과 그믐이 6물 사리입니다
음력에 +6하면 물때가 나옵니다
15가 넘어가면 15를 빼주어야겠지요
'▒ 자연◈ > ◐대자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꼬까울새 (0) | 2014.01.30 |
---|---|
[스크랩] 自然의 신비 (0) | 2009.09.02 |
Cosmos (코스모스) - EP5 - Blues for a Red Planet (붉은 행성을 위한 블루스) (0) | 2009.08.16 |
펀디 만(Bay of Fundy)-세계에서 조류가 가장 심한 곳, 조석공명때문이다 (0) | 2009.08.07 |
생물 분류 (0) | 2009.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