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리처럼 살기? 적어도 3억 필요하다
[인포그래픽] 귀농산장, 위험한 초대
농림축산식품부 귀농귀촌통계에 따르면, 2001년 대비 2013년 귀농귀촌·세대수가 36배나 늘었다.
귀농은 도시에 거주하는 인구가 도시를 떠나 농촌에서 새로운 형태의 삶을 이어가는 것을 말한다.
도시 생활에 지친 도시인들이 농촌의 슬로 라이프를 기대하며 2013년에만 3만2000여 가구가 도시의 삶을 정리하고 농촌으로 갔다.
많은 사람들이 도시에서만 일자리를 찾고 승진하기 위해 경쟁하며 주거 공간을 끊임없이 찾는 일을 거부한 셈이다.
정부 역시 많은 소득과 여유로운 삶을 즐길 수 있는 '농촌 라이프'를 블루오션처럼 홍보하기도 한다.
과연 기대와 홍보만큼 귀농생활에 낭만이 있을까?
귀농·귀촌을 위해 필요한 자금은 얼마나 될까?
먼저 기존에 있는 농가 주택을 리모델링하여 거주하는 경우도 많으나 보통 정착에 필요한 주택 비용으로 1억3000만 원에서 1억5000만 원 정도가 필요하다(2013년 통계청 농가경제조사).
또한 귀농인이 되기 위해 관련법상 요건은 1000㎡(약 302.5평) 이상의 농지(비닐하우스 등 시설영농은 330㎡)가 필요하다.
1000㎡(약 302.5평) 이상의 농지를 구입하는 데만 2억 원 이상이 든다.
본격적인 농사를 짓기 위해 필요한 농기구, 종자값, 시설 비용 등을 합치면 5000만 원 정도가 필요하다.
바로 수익이 날 수 없기 때문에 수확을 통한 수익을 낼 때까지는 최소 1년 생활비로 2000만 원 정도의 여유 자금이 필요하다.
돈을 벌고 싶으면 차라리 도시로
자연이 좋아 귀농을 했지만 수익을 내기는 쉽지 않다.
비료만 주면 잘 클 줄 알았던 농작물은 가뭄, 홍수 등 기상이변에 속수무책이다.
농가 소득은 도시가구의 3~4분위에 해당하며 도시 평균 연간 소득이 4200만 원 정도인 반면, 농촌 평균은 3200만 원에 불과하다.
가계지출 3000만 원을 제하면 월 소득은 30만 원이 채 안 된다(2013년 통계청 농가 및 어가경제조사 결과).
전반적으로 농업 현실이 어려운 상태에서 많은 돈을 벌기 위해 욕심을 갖고 무조건 많은 토지를 구매해서 시작하는 무모한 도박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농촌도 사람 사는 사회다.
오히려 도시의 생활보다 서로의 사생활에 관여하며 유대 관계를 맺는 정서가 강해 도시인들이 적응하기 힘들어 하는 경우도 많다.
텃세가 심해 지역 커뮤니티에 끼지 못하면 각종 혜택을 놓치는 것은 물론, 각종 의사 결정에서 소외되는 등 일종의 '왕따'가 될 수도 있다.
실제 한 포털 사이트 상위 3곳의 귀농귀촌 커뮤니티를 분석한 결과, 텃세와 관련된 어려움을 호소하는 게시글이 2006년 87건에서 2013년 858건(2014년 상반기에만 688건)으로 크게 늘어났다.
고생 끝에 낙이 올까?
제대로 된 귀농 생활을 위해 배워야 할 것들은 어마어마하다.
초기 정착을 위한 농가 주택 구입, 농지 매매부터 농지 관리, 농사를 짓기 위한 재배 작물에 대한 지식, 해충 방제, 농기계 운전과 작동, 수확 후 판매 방법까지 전체적인 프로세스에 대해서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귀농을 위한 정부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최소 100시간의 교육 이수가 필요하다.
이렇게 많은 시간과 자금을 들여 선택한 귀농, 귀촌 생활의 성공적인 정착 확률은 언론 보도 내용에 따르면 10% 미만인 것으로 보인다.
맑은 공기, 깨끗한 환경, 넉넉한 인심, 내 손으로 직접 재배해서 먹는 먹거리 등 농촌 생활을 꿈꾸는 예비 귀농·귀촌인들은 여유로워 보이는 농촌 생활의 '위험한 초대'에 당황하지 않기 위해 목적과 계획을 분명히 해야 한다. 도시 생활보다 불편함이 많은 농촌 라이프를 견뎌낼 수 있는 충분한 준비가 필요하다.
'▒ 농사◈ > ◐농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기자를 조금 수확했습니다 (0) | 2014.09.21 |
---|---|
기적의 선물 '아로니아' (0) | 2014.09.21 |
슈퍼여주 씨앗 (0) | 2014.09.06 |
명당마을 동네 한바퀴 (0) | 2014.09.05 |
블랙초크베리(아로니아) 효능 (0) | 2014.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