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규성 기자]
책 표지. |
대체로 폭탄주가 유행인 것은 우리들의 회식문화와 관련 있다는 설명이 우세하다. 조직의 단합, 상명하복, 다 함께 먹자는 획일성 등등 여러 이유로 설명되긴 한다. 초기의 폭탄주는 맥주와 양주를 섞었지만 지금은 소주와 맥주를 섞어 먹는 것이 대세다. 물론 다른 술을 맥주에 섞는 경우도 많다. .
폭탄주는 그 강도에 따라 원자폭탄주, 수소폭탄주, 중성자탄 등이 있고, 마빡주, 충성주 등 회식자리 성격을 규정해주는 폭탄주도 있다. 술이란 게 그저 적당히 마시면 큰 탈이 없다. 때와 장소를 가릴 줄 아는 분별도 요구한다. 정치인 중에는 폭탄주를 퍼먹고 대국민토론회장에 나서서 혼쭐난 사례도 있고, 여기자를 성희롱해 망신을 산 적 있다.
이런 일들은 비단 지금만이 아니다. 조선시대에는 국상 중에 술을 마셔 파면된 관리, 임금에게 술을 마시라고 강권하는 신하들, 소주에 산초를 타서 오늘날 폭탄주처럼 제조해 마신 세자의 스승, 술을 취해 임금을 '너'라고 부른 정승 등등 음주사고가 끊이지 않았다.
조선시대에는 대궐에서 아침 조회를 마치고 나면 임금은 신하들에게 술을 내려 위로의 자리를 마련했다. 임금은 죄수들에게까지도 자주 술을 내렸다. 일종의 통치행위로써 술과 정치는 불가분의 관계였다. 조선 왕 중 애주가로는 태종, 세조, 영조를 꼽을 수 있다. 세 임금의 특징은 순탄치 않게 왕위를 물려 받았으며 재위 중에도 변란과 골육 상잔의 아픔을 겪었다. 술을 싫어한 임금은 단연 세종이다. 세종은 술을 혐오할 정도로 싫어해 신하들과 마찰도 많았다. 특히 신하들이 하도 술을 마시라고 강권해 화를 내는 모습이 조선왕조실록에도 자주 등장하고 있다.
조선 사회는 술이 약이며 음식으로 이해했다. 따라서 왕실은 물론 관료와 백성까지 질펀하게 술을 마시는 풍조가 유행했다. 심지어는 술병을 들고 거리를 나다니는 사람들도 흔했다. 풍속이 문란하거나 기근이 들면 여러 왕들은 금주령을 내리는 일도 잦았다. 그러나 금주령은 예외조항이 많고, 신분이 낮은 백성들만 범죄자로 만들어 실효성을 제대로 거두지 못 했다.
조선조에서 술꾼으로는 세종 때 관료인 윤회, 허지, 세조 때 좌의정을 지낸 이사철 등이 꼽힌다. 이는 그만큼 실록에 기록될 만큼 일화가 많다는 얘기일 것이다. 세조의 신임을 받아 영의정에 오른 정인지는 술을 마시면 주사가 심한 이였다. 만취해 세조에게 '너'라고 부른 적도 있고, 평양 외성과 관련, "주상께서는 지리의 심오함을 알지 못 한다"며 교만을 떤 적이 있다. 여러번 직첩을 빼앗기고 탄핵을 받거나, 귀양 갔다가 복권되기를 반복했다.
당시에도 사회문제거리인 주폭들이 많았다. 성종 때 평양 사는 주폭 삼형제는 이모 집에 놀러가 술을 마시곤 이웃집 여종을 불러 술을 따르게 하고 노래를 시키며 희롱하는 것도 모자라 이를 말리는 여종의 남편을 때렸고, 남편의 여동생도 구타하고, 업고 있던 아이를 죽게 한 일도 있었다.
그간 '조선은 뇌물천하였다', '중세시대의 환관과 공녀' 등 다양한 저술로 유명한 역사학자 정구선의 '조선 왕들, 금주령을 내리다'는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들여다 본 조선의 술문화가 그대로 재현돼 있다. 오늘날 우리 사회의 강력 사건 중 많은 것들이 술과 얽혀 있다. 최근 세월호 참사에서도 선장의 평소 음주 습관이 도마 위에 올라 있다. 선장은 배안에서 자주 술을 마셔 징계를 받은 적도 있다. 선장의 음주 여부도 현재 쟁점으로 부각된 실정이다. 적당히 마시고 절제할 줄 아는 미덕이 필요하다.
<정구선 지음/팬덤북스 출간/값 1만3000원>
'▒ 교육◈ >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TV 책을 보다 <내 안에서 나를 만나는 것들-리셀로버츠 著> (0) | 2015.12.16 |
---|---|
신부님 우리들의 신부님 (0) | 2014.12.30 |
조선의 출셋길 장원급제 (0) | 2014.12.16 |
릭웨렌-회복으로 가는길 (0) | 2014.11.24 |
[스크랩] 은발의 패셔니스타가 왔다『어드밴스드 스타일』 (0) | 2014.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