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차원 억류자ㆍ희생자 규모 첫 공식확인
(서울=연합뉴스) 김연정 기자 = 일제강점기 일본군으로 강제동원된 조선인 1만여명이 종전 후 소련군 점령지역에서 포로로 붙잡혔다가 이 중 2천여명이 시베리아에 억류된 채 강제노동 등에 동원된 사실이 정부 차원 조사에서 처음 확인됐다.
하지만 이번 조사는 시베리아 지역에만 한정돼 정확한 실체 파악을 위해서는 한인 포로들이 수용됐던 옛 소련 전 지역을 조사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27일 정부와 징용 피해생존자 단체 '시베리아 삭풍회' 등에 따르면 대일항쟁기 강제동원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희생자 등 지원위원회는 최근 `시베리아 억류 조선인 포로 문제'에 대한 진상조사를 완료했다.
위원회에 따르면 일본강점기때 일본군으로 징병돼 제2차 세계대전 종전 당시 중국 동북지역에서 관동군으로 복무한 조선인 청년은 약 2만명으로 추산된다.
이들 중 1만여명은 종전 후 중국 동북지역, 사할린, 쿠릴열도, 북한에서 소련군에 의해 무장해제 당하고서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한 채 시베리아에 억류된 채 강제노동 등에 동원됐다.
시베리아 전역의 포로수용소에 갇혔던 전체 조선인 수는 이견이 많지만, 억류된 1만여명 중 7천명가량이 1948년 말 건강악화나 조선인 신분이 확인됐다는 이유로 풀려난 것으로 파악돼 포로로 강제 억류된 이는 2천여명으로 추정된다.
이번 조사에서는 조선인 사망자 수가 최소 60명 이상이라는 사실도 공식 확인했다.
1991년 소련이 일본 정부에 국적이 기재된 억류사망자 4만여명의 자료를 전달했는데 여기서 조선인 국적인 사망자 60명가량이 확인된 것이다.
아사히신문이 제작한 명부, 시베리아 포로피해자가 직접 작성한 명부 등 다른 자료에 나타난 조선인 희생자 통계에서도 비슷한 사망자 수가 확인된다.
하지만 당시 억류된 채 풀려나지 못한 조선인이 수천명이고, 소련이 1991년 이후 일본 정부에 6천여명의 사망자 명부를 더 전달했다는 점에서 조선인 사망자 규모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정부의 진상조사는 2005년 삭풍회 이병주 회장이 중국 동북지역에 일본군으로 강제동원된 조선인 현황, 시베리아 억류 배경과 실태 등에 대한 답변을 요구하면서 시작됐다.
위원회는 일본 도쿄의 전국억류자보상협의회 관계자들을 면담하고 자료를 수집하면서 2007년에 구술기록집 '시베리아 억류 조선인 포로의 기억'을 펴냈다.
보고서를 심의한 박환 수원대 교수는 "보고서는 시베리아에 주로 초점을 맞췄는데 옛 소련 전역에 한인이 억류됐던 실상 전체를 밝혀내는 게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조선인 1만여명이 억류됐는데도 60여년간 정부 차원의 노력은 국가기록원이 겨우 3천여명의 명단을 입수한 것뿐이다. 러시아와 교섭해 추가 명단을 받는 등 정부와 학계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yjkim84@yna.co.kr
'▒ 뉴스◈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0회 대한민국장애인문학상 (0) | 2011.01.19 |
---|---|
추파카브라 전설의 흡혈동물 (0) | 2010.12.27 |
70여년 달려온 경춘선 무궁화호 역사속으로.. (0) | 2010.12.21 |
여행도 중국여성관광객 급증-뉴스데스크 (0) | 2010.12.15 |
또 그곡으로 한해를 마감하실건가요 (0) | 2010.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