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큼하다(O) 응큼하다(X) /후줄근하다(O) 후즐근하다(X) 엉큼하다(O) 응큼하다(X) ① 엉뚱한 욕심을 품고 분수에 넘치는 짓을 하고자 하는 태도가 있다 ② 보기와는 달리 실속이 있다 후줄근하다(O) 후즐근하다(X) 옷이나 종이 따위가 약간 젖거나 풀기가 빠져 아주 보기 흉하게 축 늘어져 있다 ▒ 교육◈/◐우리말 2016.03.17
얼루기(O) 얼룩이(X) /맛보기(O) 맛배기(X) 얼루기(O) 얼룩이(X) 얼룩얼룩한 점이나 무늬. 또는 그런 점이나 무늬가 있는 짐승이나 물건. 맛보기(O) 맛배기(X) ① 맛을 보도록 조금 내놓은 음식 ② 어떤 일을 본격적으로 하기 전에 시험 삼아 해 보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교육◈/◐우리말 2016.03.17
물건을 부수다(O) 물건을 부시다(X) /명예를 좇다(O) 명예를 쫓다(X) 물건을 부수다(O) 물건을 부시다(X) 부수다: 만들어진 물건을 두드리거나 깨뜨려 못 쓰게 만들다 부시다: ① 그릇 따위를 씻어 깨끗하게 하다 ② 빛이나 색채가 강렬하여 마주 보기가 어려운 상태에 있다 명예를 좇다(O) 명예를 쫓다(X) 좇다: 목표, 이상, 행복 따위를 추구하다 쫓다: 어떤 대.. ▒ 교육◈/◐우리말 2016.03.17
그을음(O) 끄름(X) /끄덩이(O) 끄뎅이(X) 그을음(O) 끄름(X) 어떤 물질이 불에 탈 때에 연기에 섞여 나오는 먼지 모양의 검은 가루 끄덩이(O) 끄뎅이(X) ① 머리털이나 실 따위의 뭉친 끝 ② 일의 실마리 ▒ 교육◈/◐우리말 2016.03.17
본뜨다(O) 본따다(X) /차지다(O) 찰지다(X) 본뜨다(O) 본따다(X) ① 무엇을 본보기로 삼아 그대로 좇아 하다 ② 이미 있는 대상을 본으로 삼아 그대로 좇아 만들다 차지다(O) 찰지다(X) 반죽이나 밥, 떡 따위가 끈기가 많다. ▒ 교육◈/◐우리말 2016.03.17
모방, 표절 / 모색, 탐색 모방 다른 것을 본뜨거나 본받음 표절 시나 글, 노래 따위를 지을 때에 남의 작품의 일부를 몰래 따다 씀. 모색 일이나 사건 따위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나 실마리를 더듬어 찾음 탐색 드러나지 않은 사물이나 현상 따위를 찾아내거나 밝히기 위하여 살피어 찾음 ▒ 교육◈/◐우리말 2016.03.17
마뜩잖다(O) 마뜩찮다(X) /시답잖다(O) 시덥잖다(X) 마뜩잖다(O) 마뜩찮다(X) 마음에 들 만하지 아니하다 * 한글맞춤법 제39항 어미 ‘-지’ 뒤에 ‘않-’이 어울려 ‘-잖-’이 될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시답잖다(O) 시덥잖다(X) 볼품이 없어 만족스럽지 못하다 ▒ 교육◈/◐우리말 2016.03.17
저희 나라(X) 우리 나라(O) 저희 나라(X) 우리 나라(O) ‘저희 나라’는 국가의 모든 국민을 낮추는 말. 외국인에게 우리를 낮출 필요 없음 상대보다 자신을 낮추어야 하는 경우 ‘저희 회사’ 상대를 높여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우리 회사’ ▒ 교육◈/◐우리말 2016.03.17
직사하다(O) 직사다(X) /빠개지다(O) 뽀개지다(X) 직사하다(O) 직사다(X) (주로 ‘직사하게’ 꼴로 쓰여) ‘굉장히’, ‘실컷’의 뜻을 나타낸다 빠개지다(O) 뽀개지다(X) ① 작고 단단한 물건이 두 쪽으로 갈라지다 ② 거의 다 된 일이 어긋나다 ▒ 교육◈/◐우리말 2016.03.17
내로라하다(O) 내노라하다(X) /한가락 하다(O) 한 가닥 하다(X) 내로라하다(O) 내노라하다(X) 어떤 분야를 대표할 만하다 한가락 하다(O) 한 가닥 하다(X) 한가락 : 어떤 방면에서 썩 훌륭한 재주나 솜씨 ▒ 교육◈/◐우리말 2016.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