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 [사단칠정]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은 이황과 기대승의 성리학 논쟁을 말한다.
사단(四端)이란 유학의 인성론에서, 인간은 본질적으로 선하다는 단서를 보여주는 네가지 덕목을 말하며,
칠정(七情)이란 인간이 지닌 7가지 감정을 말한다
사단(四端)은 맹자의 용어
맹자 공손추편(公孫丑篇)에 나오는 말
인간의 선한 본성인 인의예지(仁義禮智)
측은지심(惻隱之心)-인지단(仁之端),
수오지심(羞惡之心)-의지단(義之端),
사양지심(辭讓之心)-예지단(禮之端),
시비지심(是非之心)-지지단(智之端)
인의예지(仁義禮智)의 단(端)을 모아서 사단이라고 하며,
칠정이란 예기에 나오는 사람이 갖고 있는 일곱 가지 감정,
즉 희·노·애·구·애·오·욕(喜怒哀懼愛惡欲)을 말한다.
이 사단과 칠정의 관계를 철학적으로 설명하는 데 있어서 그 주장을 사칠론이라고 하며,
또한 이것은 사람의 견해에 따라 의견을 달리하며 조선시대의 성리학에 있어서 오랫동안 논쟁 대상이 되었다.
이기론(理氣論)
이기론(理氣論)- 조선시대 성리학에 있어서 자연의 존재법칙을 연구하는 우주론(宇宙論)의 하나이다.
'이(理)'·'기(氣)'는 본래 유교의 경전에 단편적으로 보이지만 중국의 송대(宋代)에 이르러
유교는 불교·도교의 영향을 받아 이론적으로 이기론을 더욱 심화하였다.
주희(1130~1200)에 의하여 집대성된 성리학은 고려말부터 한국에 유입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에는 정통사상으로서 군림하였고, 이기론은 사칠론과 얽히어 조선시대 유교계에 있어서 논쟁의 초점이 되었다.
주희는 "음양오행(陰陽五行)이 착종(錯綜)하여 조리(條理)를 잃지 않는 것이 곧 이(理)이다.
만물의 일원(一原)을 말하면 이(理)는 동(同)하고 기(氣)는 다르다"고 하였다.
기(氣)는 우주 구성의 소재(素材)로서 음양(陰陽)의 기운, 즉 힘으로서 자연과학상의 에너지이며,
이(理)는 기(氣)의 운동이나 작용의 조리(條理)로서
철학적으로는 원리(Principle)·형식(Form)·로고스(Logos)·이데아(Idea)·규범(Norm)·당위(Sollen) 등의 뜻을 가지고 있으며,
자연과학적으로는 법칙(Law)의 뜻이다.
사칠이기논쟁(四七理氣論爭)
사칠이기논쟁(四七理氣論爭)은 조선시대 퇴계 이황과 그의 문인(門人) 고봉 기대승과의 사이에 일어나기 시작한 사단칠정(四端七情) 및 이기(理氣)에 관한 논쟁으로서 조선의 유교계에 오랫동안 계속되었던 논쟁이다.
이황
사단(四端)은 이(理)에 발(發)하므로 순선(純善)이요, 칠정(七情)은 기(氣)를 겸(兼)하였으므로 선악(善惡)이 있다
사단은 이(理)의 발(發)이요, 칠정은 기(氣)의 발이다.
사단에도 기(氣)가 없는 것이 아니지만 이(理)가 주(主)가 되므로 사단은 이(理)의 발이라 말하고, 칠정에도 이(理)가 없는 것이 아니지만 기(氣)의 발이라 한다.
고 하여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취하고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주장하였다.
기대승
칠정 외에 사단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닌데 지금 만약 사단은 이(理)에서 발(發)하여 불선(不善)함이 없고 칠정은 기(氣)에서 발하여 선악이 있다고 한다면 이것은 이(理)와 기(氣)가 확실히 둘이 되는 것이며 칠정은 성(性)에서 나오지 아니하고 사단은 기(氣)에 승(乘)하지 아니하는 것이 되니 이것은 어의(語意)가 의심이 없을 수 없는 것입니다.
칠정 밖에 따로 어떤 정(情)이 이(理)에서만 나오고 기(氣)에서 나오지 아니하는 정(情)이 있을 수 없습니다. 또 외계(外界)의 물질(物質)에 감촉되어 동(動)하는 것은 사단(四端) 역시 그러합니다.
라고 하여 사단과 칠정의 이기분속(理氣分屬)을 반대하고 이기공발설(理氣共發說)을 취하여 주기적(主氣的) 경향을 띠게 되었다.
두 사람이 세상을 떠난 몇 해 뒤에 다시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기대승의 전설(前說)을 가지고 이황의 설을 반박하여 우계(牛溪) 성혼(成渾)과의 사이에 논쟁이 거듭되었다.
성혼
심(心)의 허령지각(虛靈知覺)은 하나인데, 혹 형기(形氣)의 사(私)에서 나온 것은 인심(人心)이요, 혹 성명(性命)의 정(正)에서 원(原)한 것은 도심(道心)이다. 인심은 기(氣)를 위주로 하고 도심은 이(理)를 위주로 한 것이 퇴옹(退翁:李滉)이 사단은 이발이요, 칠정은 기발이다라고 한 것과 무슨 다른 점이 있겠는가. 이(理)와 기(氣)의 호발(互發)이 천하의 정리(定理)가 되고 퇴옹의 본 바가 역시 정당한가 자세히 연구하여 일깨워 주기를 바라네.
라고 하여 이황의 이기호발설을 옹호하는 입장에서 이이에게 질문서를 보냈다.
이이
만일 형(兄:성흔)의 말대로 이기호발(理氣互發)이라 한다면, 이것은 이기(理氣) 2물(物)이 각기 마음 가운데 뿌리가 있어서 발하기 전에 이미 인심(人心) 도심(道心)이 묘맥(苗脈)이 있어서 이(理)가 발(發)하면 도심(道心)이 되고 기(氣)가 발하면 인심(人心)이 되는 것이니, 그렇다면 우리의 마음에 2본(本)이 있는 것이 된다. 무릇 발하는 것은 기(氣)요, 발(發)하는 소이연(所以然)은 이(理)이다. 기가 아니면 능히 발하지 못하고, 이가 아니면 발할 소이연이 없는 것이니, 선후(先後)나 이합(離合)도 없는 것이요 이기호발이라 할 수 없는 것이다.
라고 하였다.
이이는 이기일도설(理氣一途說)로써 이발(理發)을 부정하고 기발이승(氣發理乘)만을 관철하였으며, 사단과 칠정의 근원으로서 이황의 이른바 이발·기발이란 두 묘맥(苗脈)을 부정하고 기발(氣發)의 한 묘맥만을 인정하였다.
이황의 이발, 이이의 기발이란 상반되는 견해는 다음 주리파(主理派)와 주기파(主氣派)의 양대 진영으로 갈리어, 유교계에서 오랫동안 논쟁을 계속하였다.
이황을 지지하는 주리파는 영남지방에서, 이이를 지지하는 주기파는 경기·호남 등지에서 성행하였으므로 각기 영남학파·기호학파라고도 일컬어졌다.
양파는 모두 자파(自派)의 학문적 근거를 성리학의 대성자 주희에게 구하려 한 나머지, 주기파의 송시열과 한원진의 공저 <주자언론동이고(朱子言論同異考)>는 주희의 어록을 세밀히 조사함으로써 주기론의 근거를 고증한 것이며 이에 대하여 주리파의 이진상(李震相) 저(著)인 <이학종요(理學宗要)>에서는 주희의 어록이 이발을 주장한 것임에 틀림없다고 변증하였던 것이다
'▒ TV•동영상◈ > ◐시사♡교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자의 고향 -퇴계, 청량에 길을 묻다♣ 2011.01.02 (0) | 2011.03.21 |
---|---|
[여행]퇴계 예던길- 아니 예고 어이리/주간경향 (0) | 2011.03.20 |
이황에 대해 다음 지식 (0) | 2011.03.20 |
청량산 (경상북도) /위키백과 (0) | 2011.03.19 |
퇴계(退溪)선생의 매화 詩와 두향 이야기 (0) | 2011.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