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백제|신라|발해|고려|조선|대한민국|중국|일본|
대(代) |
왕 명 |
재위기간 |
약 사 |
1 |
태조(太祖,
877.1.4
~943,5.29) |
918.6.15
~943.5 |
성은 왕(王) 휘는 건(建). 자는 약천(若天). 왕륭(王隆)과 위숙왕후 한씨(韓氏)사이에 877년 출생.고려왕조의 초대국왕. 연호-천수(天授).
896년-궁예(弓裔)의 부하로 들어가, 918.6.15-신숭겸(申崇謙), 복지겸(卜智謙), 홍유(洪儒), 배현경(裵玄慶) 등의 장수들을 기반으로 궁예를 축출하고 철원에서 고려를 건국
919-송악(松嶽)으로 수도를 이전
926(천수9)-발해가 멸망하자 대광현 왕자와 발해유민들 흡수
927- 공산 동수전투에서 패배. 930-고창전투에서 승리
935-신라멸망 . 936.9-후백제를 멸망시키고 후삼국을 통일 함
943-훈요10조(訓要十條)
고려(高麗):918년건국~1392년 까지 474년 동안 존재
916년-거란이 요(遼)나라를 건국
926년-발해 멸망 |
2 |
혜종(惠宗,
912~945) |
943~945 |
자-승건(承乾), 휘는 무(武). 태조의 장자, 어머니는 2비인 오다련의 딸 장화왕후(莊和王后) 오씨(吳氏), 비(妃)는 대광(大匡) 임희(林曦)의 딸인 의화왕후(義和王后), 태조의 3비인 신명순성왕후의 아들 왕요와 왕소가 왕위에 도전하고 있었고, 대광인 왕규(王規)의 음모에 신경쓰다 병사?하였다 함. |
3 |
정종(定宗, 923~949) |
945~949.3 |
휘는 요(堯), 자는 천의. 태조와 신명순성왕후(神明順成王后) 사이의 아들이며,비(妃)는 문공왕후(文恭王后)박씨(朴氏)와 문성왕후(文成王后)박씨. 왕규의 난을 평정하고 불교를 숭상함.
947년-거란을 방비하기 위해 광군(光軍) 30만명을 양성.
서경천도를 천명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죽음 |
4 |
광종(光宗, 925~975) |
949.3~975 |
휘는 소(昭). 자는 일화(日華). 태조의4자. 정종의 동생. 비는 대목왕후 황보씨(大穆王后 皇甫氏)와 경화궁부인(慶和宮夫人)임씨는 배다른 혜종의 딸이다. 950년에 광덕(光德)이란 연호 사용
왕권의 강화와 중앙집권적 국가체제 확립,과감한 개혁 정책을 추진
956-노비안검법을 제정하고, 956-후주에서 귀화한 쌍기(雙冀)의 건의에 따라 과거제도를 실시함. |
5 |
경종(景宗, 955~981) |
975~981 |
휘는 주(인宙). 자는 장민(長民). 광종과 대목왕후(大穆皇后) 황보씨(皇甫氏)의 장자. 비는 헌애왕후황보씨(獻哀王太后)에게 목종을 얻고, 헌정왕후 황보씨(獻貞王太后) 자매와 혼인,경순왕의 딸 헌숙왕후(獻肅王后)김씨와 혼인하였다
976년(경종 1년)-전시과(田柴科)를 제정하여 토지제도의 시초를 마련함. 송나라와 우호관계 |
6 |
성종(成宗, 960~997)0 |
981~997 |
휘는 치(治). 자는 온고(溫古), 대종(戴宗)과 선의태후(宣義太后) 유씨(柳氏)의 아들이다. 고려 초창기의 제반 문물제도를 정비하여
국가기반을 튼튼히 했으며, 유교를 국가의 지도원리로 삼고
중앙집권적 봉건제도를 확립함.
982-최승로(崔承老)의 시무 28조(時務二十八條)
983-3성(省) 6부. 12목(牧)을 설치
993-거란의1차침입-서희의 담판-강동6주 획득
995-6관(官)을 상서6부(尙書六部)로 개편. 지방-10도(道)·12주(州)
거란(요)의 침입-993년(성종12)~1019년(현종10)까지 3차례 침입 |
7 |
목종(穆宗, 980~1009) |
997~1009 |
휘는 송(誦). 자 효신(孝伸), 시호 선양(宣讓), 개령군(開寧君)
경종의 장자. 어머니는 헌애왕후(獻哀王后) 황보씨(皇甫氏)
997-전시과(田柴科)를 개정하고 학문을 장려 하는 등 치적이 많았으나 강조(康兆)의해 폐위되어 충주(忠州)로 가는 도중에 살해됨
천추태후(千秋太后)-천년의 가을
강조(康兆)의 변(變)-강조가 1009년 목종을 폐위시킨 정변 |
8 |
현종(顯宗, 992~1031) |
1009~1031 |
휘는 순(詢).자는 안세(安世), 태조의 아들 안종(安宗)과 헌정왕후(獻貞王后) 황보씨(皇甫氏)의 아들
천추태후의 강요로 중이 되었다가 1009-강조의 옹립으로 즉위함. 1011.11 -거란의 2차침입-양규(楊規)의 항전, 강조의 죽음
1018.12- 거란의 3차침입 -강감찬(姜邯贊) 강민첨(姜民瞻) 1019년(현종10) 2월 1일- 강감찬(姜邯贊)의 귀주(龜州)대첩
1022-군현에서는 호장(戶長), 향·부곡 등에서는 장(長)으로 간소화
1024- 5부(部) 35방(坊) 314리(里) |
9 |
덕종(德宗, 1016~1034) |
1031~1034 |
휘는 흠(欽).현종과 원성태후(元成太后)김씨(金氏)의 장남
1033(덕종2)-고장성(古長城)을 쌓았으며 국사편찬 사업도 완성함.
천리장성(千里長城)축조 -1033(덕종2년)~1044(정종10)까지
평장사(平章事) 유소(柳韶)가 여진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압록강 어귀에서 동해안의 도련포(都連浦)까지 쌓은 장성 |
10 |
정종(靖宗, 1018~1046) |
1034~1046 |
휘는 형(亨). 자는 신조(申照), 원성태후(元成太后) 김씨(金氏)의 둘째 아들이자 덕종의 동생
1035-서북로(西北路)에 장성을 쌓아 변방의 수비를 강화
1036-제위군(諸衛軍)에게 토지를 더 지급하여 변경의 방비를 강화
1037-압록강에서 거란의 침입을 막음
1044-천리장성을 완성
1046- 장자상속법(長子相續法)을 제정 |
11 |
문종(文宗,1019~1083) |
1046~1083 |
휘는 휘(徽). 자는 촉유(燭幽).현종과 원혜왕후(元惠王后) 김씨(金氏)의 3남, 정종의 아우. 비-이자연(李子淵,의 세딸, 인예태후(仁睿太后). 인경현비(仁敬賢妃). 인절현비(仁節賢妃)
즉위년-문하시중 최충에게 율령(律令)·서산(書算)을 정리하게 하여
형법(刑法)의 기틀을 마련
1049(문종 3) -공음전시법(功蔭田柴法)
1050- 재면법(災免法)·답험손실법(踏驗損失法) 등을 마련
1067-흥왕사(興王寺)를 세움. 대각국사 의천
1069-양전보수법(量田步數法)을 제정-세율
녹봉제(祿俸制)·선상기인법(選上其人法) 등을 제정하여
집권적 지배체제의 중요한 기초를 마련
사학(私學)이 발달. 송.이슬람.일본과 교류
'고려의 황금기'-재위 37년간 고려의 문물 제도는 크게 정비함
불교,유교.미술,공예등 문화 발전. 학문을 좋아하고 서예에 능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