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군사 조직 | ||||||
중앙군 |
2군(二軍) 태조의 친위대 |
응양군(鷹揚軍)-(1령) 상장군·대장군·장군·중랑장·낭장·별장·산원·위·대정 |
정 · 부지휘관 상장군(上將軍) 대장군(大將軍)
각 영의 지휘관- 장군(將軍)
영- 병종(兵種)에 따라 보승(保勝)·정용(精勇)·역령(役領)·상령· 해령(海領)·감문위령(監門衛領) 등 합해서 45령
(1령은1000명) 고려의 정규 중앙군의 규모는 약 45,000명
공민왕- 장군이 지휘관인 왕의 친위부대인 충용위가 신설 4령 | |||
용호군(龍虎軍)-(2령) 근장상장군·근장대장군·친종장군·근장중랑장 | ||||||
6위(六衛) 성종 14년(995) |
좌우위(左右衛)(13령) |
수도 개경 수비와 변방방비 | ||||
신호위(神虎衛) (7령) | ||||||
흥위위(興威衛) (12령) | ||||||
금오위(金吾衛) (7령) |
치안,경찰 | |||||
천우위(千牛衛) (2령) |
의장(儀仗) | |||||
감문위(監門衛) (1령) |
궁성수비 | |||||
지방군 |
광군 |
광군사 거란방위 정종 2년(947) |
광군(光軍)은 고려에서 조직된 최초의 전국적인 군사 조직 중앙집권화 과정에서 광군이 주현군으로 개편 | |||
주현군(州縣軍)
|
초군(抄軍) |
주·현에 주둔하고 있던 지방군 도(道)와 계(界)에 따라 차이 계-국경지대의 군사지역 |
보승군 |
지방의 치안, 방위 | ||
좌군(左軍) |
정용군 | |||||
우군(右軍) |
일품(一品)군 |
노역부대 (향리가 지위) | ||||
주진군(州鎭軍) |
초군(抄軍) |
진에 주둔하고 있는 정규군 |
국경수비의 상비군 | |||
좌군(左軍) | ||||||
우군(右軍) | ||||||
군호(軍戶) |
군인 |
군인전이 지급. 2인의 양호로 하여금 이를 경작하여 군인의 장비와 생활비를 제공 | ||||
양호(養戶) | ||||||
특수군 |
별무관- 여진정벌(숙종)
삼별초 -항몽투쟁(최씨정권)
연호군 -농민.노예로구성
|
품계 |
2군(二軍) |
6위(六衛) |
충용4위(忠勇四衛) 공민왕때 친위부대
|
정1품 |
|||
종1품 |
|||
정2품 |
|||
종2품 |
|||
정3품 |
상장군 |
상장군 |
|
종3품 |
대장군 |
대장군 |
|
정4품 |
장군 |
장군 |
장군 |
종4품 |
|||
정5품 |
중랑장 |
중랑장 |
중랑장 |
종5품 |
|||
정6품 |
낭장 |
낭장 |
낭장 |
종6품 |
장사 |
||
정7품 |
별장 |
별장 |
별장 |
종7품 |
|||
정8품 |
산원 |
산원, 녹사 |
산원 |
종8품 |
|||
정9품 |
위 |
위 |
위장 |
종9품 |
'▒ 역사 ◈ >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야(伽倻) (0) | 2009.05.13 |
---|---|
고려 광종 <제국의 아침> 인물들 (0) | 2009.05.13 |
성(城)-고구려 성과 백제성 (0) | 2009.05.13 |
서동요 <선화공주님은 남 몰래 정을 통해 두고 맛동 도련님을 밤에 몰래 안고 간다> (0) | 2009.05.13 |
삼국시대<중앙성립시기-율령반포시기-불교의 전파> (0) | 2009.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