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 ◈/◈역사이야기

가야(伽倻)

파라클레토스 2009. 5. 13. 14:37

가야(伽倻)

 고대 변한 땅에 세워진 국가들의 통칭. 가야, 가라, 가락이라고도 한다.

가야에 속하는 국가들은 금관가야. 대가야. 소가야. 아라가야. 성산가야. 고령가야.

이 중에 수로왕을 시조로 하는 금관가야와, 이진아시를 시조로 하는 대가야가 가장 강한 맹주국이 되었다.

그러나 신라와 백제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서 강한 통치 정부를 세우지 못하고, 큰 발전을 이루지 못하다가, 562년(진흥왕 23년)에 신라 장수 이사부, 사다함에 의해 정복 당하였다

 

1.가야 연맹의 성립

 

(1) 위치 : 낙동강 하류 유역인 변한의 땅에서 가야의 여러 나라가 일어났다.

(2) 연맹 왕국 형성 : 삼국이 국가 조직의 정비에 힘쓰고 있을 무렵에 가야는 연맹 왕국을 이루고 있었다.

(3) 가야 연맹의 주도 : 초기에는 김해의 금관 가야가, 후기에는 고령의 대가야가 가야 연맹을 주도.

 

2. 가야 연맹의 발전

 

(1) 금관 가야

① 발전 기반 : 금관 가야는 낙동강 하류 지역의 해상 활동에 유리한 입지 조건과 철의 생산 및 교역 활동을 기반으로 하여 성장.

 

② 철기 문화의 발달 : 각종 철제 무기를 만들어 사용하였고, 덩이쇠를 만들어 화폐와 같은 교환 수단으로 이용.

 

③ 금관 가야의 쇠퇴 : 백제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신라를 견제하였으나,

왜군과 싸우는 신라를 돕기 위해 고구려가 5만의 군대를 보내어 가야 지역을 공격해 오자,

금관 가야는 큰 타격을 입게 되었다.

 

(2) 대가야

 

① 발전 기반

고령의 대가야는 질 좋은 철 광산이 많이 있었고, 또 좋은 농업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5세기 광개토 대왕의 침입으로 인한 전쟁의 피해를 입지 않았기 때문에 금관 가야를 대신하여

가야 연맹의 중심 세력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② 대가야의 발전 : 고구려 원정 이후 낙동강 서쪽의 여러 가야는 고령의 대가야를 중심으로

다시 연맹체를 이루게 되었다.

5세기 후반 대가야를 중심으로 한 가야 연맹은 세력 범위를 소백 산맥까지 확장시켰고,

중국 남제에 사신을 보내어 교통하였으며, 고구려의 침입을 받은 신라를 백제와 함께 구원하였다.

 

 

가야 연맹의 멸망

 

1. 가야 연맹의 쇠퇴 요인

 

(1) 지정학적 요인 : 6세기에 이르러 가야 연맹은 백제와 신라의 중간에 위치하여 두 나라의 압력을

계속 받았으며, 결국 두 나라의 세력 다툼을 위한 전장이 되었다.

 

(2) 통합된 지배력의 집중 실패 : 백제와 신라가 중앙 집권 체제를 마련한 것에 비해 가야연맹은

각 소국이 독자적인 정치 기반을 유지했으므로, 그 지배력을 집중시키지 못하고 강력한 권력과

무력을 갖춘 하나의 통합된 나라를 이루지 못하였다.

 

2. 가야 연맹의 멸망

 

(1) 백제와 신라의 세력 다툼

 

① 한강 유역을 잃은 백제가 그 보상을 가야 지역에서 찾기 위해 가야를 압박하였고,

이에 자극을 받은 신라도 가야 지역에 적극적으로 개입함에 따라 불안한 정치 상황 이 지속.

 

② 백제가 신라를 견제하기 위해 왜를 끌어들이면서 가야 연맹은 격렬한 국제 관계의

소용돌이 속에 빠져들게 되었다.

 

(2) 가야 연맹의 멸망 : 각 소국들의 국력이 비슷하였던 가야 연맹은 중앙 집권 국가로 발전하지

못하고 연맹 왕국 단계에서 멸망하였다.

 

① 금관 가야의 멸망 : 백제, 신라의 침략으로 영토가 점차 축소되는 가운데

신라 법흥왕 때 금관 가야가 멸망(532).

 

② 대가야의 멸망 : 신라 진흥왕 때 대가야가 멸망함으로써 가야 연맹은 멸망(562).

 

(3) 가야 문화의 영향

 

① 신라 문화에 영향 :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발전하였던 가야 문화는 우륵이 가야

음악을 신라에 전하는 등 신라 문화에 영향을 주었다.

 

② 일본 문화에 영향 : 가야의 일부 세력이 일본에 진출하여 일본의 고대 문화 발전에

이바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