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뉴스

[현장 블로그] 경쟁률 322대 1.. 여경 열풍의 이유

파라클레토스 2016. 5. 9. 05:51

지난 2월 실시된 올 상반기 순경 공채시험에서 대구지방경찰청의 여자 경쟁률이 322대1을 기록했습니다.

2명 모집에 644명이 몰렸습니다.

경찰 되기가 ‘하늘의 별 따기’가 된 지 이미 오래지만, 특히 여경은 기본적으로 100대1 이상의 경쟁률이 보통입니다.


2009년 광주지방청에서는 여경 1명 모집에 538명이 지원한 적도 있었습니다.

여경시험 합격이 남자경찰을 포함한 다른 어떤 공무원 되기보다도 어려운 것은 기본적으로 선발인원이 극히 적기 때문입니다.

경찰청은 남녀 경찰 비율을 맞추기 위해 여경을 별도로 뽑습니다.

올해는 경찰 채용 인원이 대폭 줄면서 상반기 순경 공채에서 부산, 대구, 인천, 제주 등 상당수 지방청에서 여경을 2~5명밖에 뽑지 않았습니다.

가장 많이 모집한 서울도 58명으로 남자(406명)의 14% 수준에 그쳤습니다.




●9급 행정 시험보다 쉽고 수당 많아


여경 경쟁률이 높은 이유는 또 있습니다.

한마디로 ‘시험은 쉽고 처우는 좋기 때문’입니다.

한 수험생은 “시험이 9급 행정직과 비슷하지만 그보다는 다소 쉽게 출제되고, 일단 경찰이 되기만 하면 위험수당·출동수당 등이 붙어 월급이 9급 행정직보다 많다”고 말했습니다.


서울 노량진에 있는 아모르이그잼 경찰학원 김하성 본부장은 8일 “일반직 공무원과 마찬가지로 여경들도 육아휴직 등 각종 복지혜택을 누릴 수 있다”며 “사기업과 달리 남녀 차별 없이 평등하게 근무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계급별로 진급하면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는 점도 일반 공무원과 다른 장점”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남녀차별 적고 육아휴직 등 복지 ‘굿’


형사, 교통, 여성청소년, 사이버, 외사 등 기능별로 전문성을 살릴 수 있다는 매력도 있습니다.

최근 여성·청소년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치안 수요가 늘어나면서 학교전담경찰관, 학대전담경찰관 등 분야에 여경들이 포진해 있습니다.

김영록 경찰청 인재선발계장은 “최근 들어 책임감과 사명감이 투철한 여경 지원자들이 늘고 있다는 게 경찰청 내부의 평가”라며 “경찰이 된 뒤 자기 적성에 따라 어느 분야든 진출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활동적이고 외향적인 요즘 여학생들의 특성도 반영돼 있습니다.

여경 모집에 응시하려는 대학생 김우희(24)씨는 “가만히 책상 앞에 앉아 있기보다 돌아다니며 다양한 체험하는 것을 좋아하는 내 성격과 경찰이 잘 어울리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이민영 기자 - 서울신문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