턴테이블 위에서 돌아가는 LP(Long Playing)판에서 들려오는 아날로그 잡음이 음반시장에 복고열풍을 일으키고 있다. CD에 밀려 골동품 취급을 받았던 LP판이지만 최근에는 옛 가수부터 아이돌에 이르기까지 그 열풍이 확산되고 있다.
지난 1월 한국 최초의 대중가요로 알려진 윤심덕의 유작 음반 ‘사의 찬미’가 온라인 경매사이트에 등장했다. 낙찰가는 550만엔, 우리 돈으로 6080만원이었다. 역대 국내 LP판 거래 중 최고가를 기록한 ‘사의 찬미’는 윤심덕이 연인과 투신하기 전 부른 노래로 유명하다. 경매에 부쳐진 LP판은 도입부에 스크래치(잡음)가 있어 값이 내릴 것이라는 분석이 있었지만, 오리지널 음반이라는 희귀성이 부각돼 경매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 |
' |
향수를 자극하는 아날로그 음질을 찾는 사람이 늘면서 LP판은 음반시장에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20일 교보핫트랙스에 따르면 지난해 LP판 판매량은 2013년 대비 14% 증가했다. 특히 40대와 50대 남성의 구매력이 다른 층에 비해 크다. 이 계층이 구매한 LP판 비중이 2014년과 2015년 60%에 육박했다. 또 여성의 구매력이 점차 커지고 있다. LP판 판매량 중 여성 구매 비중이 2014년 14.4%에서 지난해 22.4%로 커졌다.
침체되고 있는 오프라인 음반시장에서 LP판은 역성장을 한 셈이다. LP판이 인기를 얻으면서 조용필을 비롯한 김광석, 양희은, 이소라, 김동률 등의 음반이 LP로 제작됐다.
![]() |
서울 중구 황학동의 장안레코드 가게 벽면 책장에 LP와 CD들이 빼곡히 들어차 있다. 황학동에는 70년대부터 많은 레코드점들이 있었지만, LP 시장 침체와 함께 사라지고 지금은 장안레코드와 바로 옆 돌레코드 두 곳만 남아 있다. |
교보핫트랙스 천윤석 과장은 “몇 해 전부터 LP판은 하나의 시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LP판만의 아날로그 감성과 소장가치가 중장년층부터 젊은 세대까지 폭넓은 관심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권구성 기자
'▒ 뉴스◈ >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문학 해외진출 기대주는.. 그들이 읽고 싶은 작품이어야 문 열린다 (0) | 2016.05.28 |
---|---|
맨부커상 한강 열풍/한국문학 과제 산적 (0) | 2016.05.22 |
치약 속 알갱이, 정체 알면 깜짝 놀랄 걸 (0) | 2016.05.22 |
[SDF 2016] 제13회 서울디지털포럼 폐막... 인간과 기계 공존하는 관계 진화 모색 (0) | 2016.05.20 |
"길게 보면 폭력은 줄어들고 있습니다" (0) | 2016.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