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뉴스웨이 호남취재본부 이상진 기자)세계 최장 33.9km 새만금 방조제를 국제적인 관광명소로 조성하는 메가리조트 개발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전망이다.
▲새만금 메가리조트 개발사업 조감도
농어촌공사에 따르면 메가리조트 개발사업은 새만금 5대 선도사업 중 하나로 군산시 신시도와 야미도를 잇는 3호 방조제 일대 195ha에 총 사업비 3조 4550억원을 투입해 해양형 복합레저관광단지로 개발하는 사업이다고 밝혔다.
3단계로 추진되는 이 사업은, 1단계 우선개발로 ‘17년까지 신시도와 야미도 부근 30ha에 호텔, 상업시설, 클럽하우스 등을 조성해 그 이듬해인 ‘18년도부터 운영을 시작할 계획이다.
이어서 2단계인 2017년부터 2020년까지는 47ha에 컨벤션센터를 비롯해 워터파크, 마리나시설 등 해양관광지시설이 들어설 전망이다.
3단계 잔여개발 118ha에는 2025년까지 메디컬센타, 아쿠아리움, 해양박물관, 미디어파크, 골프장 등을 조성해 2026년이면 대부분의 리조트 시설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국농어촌공사는 지난 해 7월 새만금 메가리조트 개발사업에 대한 민간사업자 모집공고를 내고 5개월의 사업제안기간을 거쳐 같은 해 12월 ‘(주)메가리조트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올 3월중 사업협약서 체결을 통해 최종사업시행자로 확정되면 3개월 내에 사업시행법인(SPC)을 설립하고 기본계획을 수립해 내년 하반기까지 실시계획 수립과 함께 2012년에는 본격적인 사업 착공에 들어갈 전망이다.
새만금방조제는 지난 해 4월 준공 이후 지금까지 780만명의 방문객이 찾았으며 세계에서 가장 긴 방조제로 기네스 인증을 받아 관광명소로서의 가치를 드높이고 있다.
특히 주변의 고군산반도와 변산반도 등 주변의 풍부한 문화관광자원을 연계한 관광루트 형성으로 관광객 유치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어 세계적인 명소로 개발될 잠재력이 풍부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농어촌공사 관계자는 "메가리조트 개발사업의 최종사업자 선정은 새만금지역이 서해안 관광시대를 대표하는 거점으로 자리매김하는 기폭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상진 기자
'▒ 변산반도◈ > ◐변산반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만금 방조제에서 죽은 상괭이 (0) | 2011.02.09 |
---|---|
3.5조원 투입 '새만금 리조트' 내년 착공/아시아경제 (0) | 2011.02.09 |
'새만금 리조트' 본격화 J프로젝트 차질 우려 (0) | 2011.02.09 |
상괭이100마리 폐사 Ytn (0) | 2011.02.09 |
새만금 방조제에서 쇠돌고래 떼죽음, 농어촌공사 은폐 ‘의혹’ (0) | 2011.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