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뉴시스】유영수 기자 = 새만금 신항만은 1982년부터 입지조성조사를 실시한 이래 추진이 유보되는 등 난항을 거듭하다 드디어 30여년만인 지난 5일 정부계획으로 확정, 사업시행을 전제로 사업계획과 예정지역이 고시됐다는 점에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새만금 신항만 건설은 새만금이 동북아의 무역, 금융 물류기지의 허브로 부상하는 최대 항구로 이것은 한마디로 전북이 환황해권의 중심에 선다는 의미이며 바로 전북이 선도를 한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뉴시스는 2010년 전북의 10대 뉴스 중 하나로 새만금 신항만 개발 확정을 꼽았다. 사진은 조성될 예정인 새만금 신항만 조감도. <관련기사 있음> yu0014@newsis.com 2010-12-20
광주=뉴시스】송창헌 기자 = 세계 최장 33.9㎞ 새만금 방조제를 국제적인 관광명소로 만들 '메가 리조트'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닮은꼴 사업이 많은 J프로젝트(서남해안관광레저도시개발사업)가 어떤 식으로든 차질을 빚는 것 아니냐는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 산하 한국농어촌공사는 8일 "메가 리조트 사업자와 다음달 사업협약서 체결하고, 내년 하반기에 본격적인 사업 착공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새만금 메가리조트 개발사업은 새만금 5대 선도사업 중 하나로 군산시 신시도와 야미도를 잇는 3호 방조제 일대 195㏊에 총 사업비 3조4550억원을 투입해 해양형 복합레저관광단지로 개발하는 사업이다.
3단계로 추진되는 이 사업은 1단계 우선 개발로 2017년까지 신시도와 야미도 부근 30ha에 호텔, 상업시설, 클럽하우스 등을 조성하고 이듬해인 2018년도부터 정식 운영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어 2단계인 2017~2020년까지는 47㏊에 컨벤션센터를 비롯해 워터파크, 마리나시설 등 해양관광지시설이 조성되고, 3단계 잔여개발 118㏊에는 2025년까지 메디컬센타, 아쿠아리움, 해양박물관, 미디어파크, 골프장 등이 조성돼 2026년이면 대부분의 리조트 시설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2030년까지 모두 21조원을 투입, 새만금 일대를 산업·관광·레저·국제비즈니스 기능이 결합된 복합도시로 특화해 세계적 수변도시인 암스테르담에 버금가는 명품도시로 개발하겠다는 구상이다.
농어촌공사 관계자는 "메가 리조트 최종 사업자 선정은 새만금이 서해안관광시대를 대표하는 거점으로 자리매김하는 기폭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등에 업고 천문학적인 비용이 투입되는 새만금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서남해안을 축으로 한 J프로젝트에도 적잖은 영향이 미칠 것으로 보인다.
- 【무안=뉴시스】최근 정부 기업도시위원회를 통과한 J프로젝트 삼호지구 토지이용계획도. 이 개발계획안은 주관사 변경으로 수정이 예상된다. (지도=전남도청 제공) <관련기사 있음> praxis@newsis.com 2009-10-05
![](http://image.newsis.com/2009/10/05/NISI20091005_0001803638_web.jpg)
특히 첨단, 녹색, 미래융합기술, 국제업무, 레저·생태 등 5개 권역으로 특성화된 새만금개발의 경우 4개 지구에 골프장, 리조트 등 숙박단지, 바이오산단, 테마파크, 국제비즈니스센터, 마리나시설 등을 주축으로 한 J프로젝트와 많은 부분에서 중복돼 선의의 피해를 보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J프로젝트와 새만금이 나란히 서해안고속도로를 끼고 있는 등 지리적으로 가까운 점 또한 우려감을 더하고 있다.
농식품부가 J프로젝트 부동지구 개발과 관련해 국책 연구기관이 내놓은 용역결과에 대해 이중예산에 따른 혈세낭비 등을 이유로 재용역을 의뢰한 점도 이같은 기류를 우회적으로 내비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남도는 구체적인 언급은 피하면서도 두 사업이 시기적으로 차이가 나는 점을 중시해 차분하게 대책을 마련중이다.
도 관계자는 "사업 중복과 정부시책의 우선순위에 대한 논란은 있을 수 있지만 냉철하게 보면 새만금은 기본·실시 계획 수립도 이뤄지지 않은 반면 J프로젝트는 이미 개발계획 승인에 이어 공사가 진행중"이라며 "(새만금보다) 10∼15년은 앞서 있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새만금과 J프로젝트가 갈등이 아닌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세밀한 사전 계획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goodchang@newsis.com
'▒ 변산반도◈ > ◐변산반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3.5조원 투입 '새만금 리조트' 내년 착공/아시아경제 (0) | 2011.02.09 |
---|---|
새만금 3조4550억원 투입 복합레저관광단지 개발 착수 (0) | 2011.02.09 |
상괭이100마리 폐사 Ytn (0) | 2011.02.09 |
새만금 방조제에서 쇠돌고래 떼죽음, 농어촌공사 은폐 ‘의혹’ (0) | 2011.02.09 |
쇠돌고래 떼죽음 원인 공방 '추위 vs 새만금 개발' 서울신문 (0) | 2011.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