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ㄹ 거야’, ‘-ㄹ 테야’ 띄어쓰기 ‘-ㄹ 거야’, ‘-ㄹ 테야’ 띄어쓰기 ※띄어 쓴다. <보기1> 이 옷은 네 몸에 맞을 {거다, 것이다} / 이 옷은 네 몸에 맞을 거야/ 맞을 것이야. <보기2> 나도 갈 {테다, 터이다} / 회사를 그만둘 테야/그만둘 터이야. ※‘것’, ‘무엇’: 격식적인 상황에서 쓰임. ‘거’, ‘무어’: 비격.. ▒ 교육◈/◐우리말 2016.02.26
‘지’ 띄어쓰기 ‘지’ 띄어쓰기 ※띄어 쓰는 의존명사 ‘지’와 붙여 쓰는 어미 ‘ㄴ지’를 구별해야 한다. <보기1> 그가 떠난 지 3년이 됐다. <의존명사> ※‘경과한 시간’의 의미. <보기2> 그가 오는지 모르겠다. <어미 ‘-ㄴ지> ※후행 서술어가 ‘알다, 모르다’ 유형으로 제한됨. ▒ 교육◈/◐우리말 2016.02.26
‘바’의 띄어쓰기 ‘바’의 띄어쓰기 ※띄어 쓰는 의존명사 ‘바’와 붙여 쓰는 어미 ‘ㄴ바’를 구별해야 한다. <보기1> 금강산에 가 본바 과연 절경이더군. 선생님은 일찍이 학문에 뜻을 두셨던바 오늘 드디어 그 결실을 보게 되었다. 기원적으로는 관형사형 어미 ‘-ᄂ’과 의존 명사 ‘바’로 이.. ▒ 교육◈/◐우리말 2016.02.26
'데' 띄어쓰기 '데' 띄어쓰기 ※띄어 쓰는 의존명사 '데'와 붙여 쓰는 어미 'ㄴ데, ㄴ데도'를 구별해야 한다. <보기1> 철수 아버지는 국회의원인데 이 점이 때로는 행동하는 데 제약이 되기도 한다. 네가 무엇인데 그런 소릴 하니? 비가 오는데 어딜 가니? (어미 '-ㄴ데'의 일부) <보기2> 그를 설득하.. ▒ 교육◈/◐우리말 2016.02.26
<만큼>과 <뿐> <대로> 붙여쓰기 <만큼> <뿐> <대로> 띄어쓰기 ※체언 뒤에서는 조사로 쓰이므로 붙여 쓴다. <보기1> 저 도서관만큼 크게 지으시오. / 숙제를 해 온 학생은 철수뿐이었다. / 약속대로 되었다. (명사 뒤) <보기2> 애쓴 만큼 얻게 되어 있다. / 허공만 응시할 뿐 아무 말이 없었다. / 바른 대로.. ▒ 교육◈/◐우리말 2016.02.26
‘만’ 띄어쓰기 ‘만’의 띄어쓰기 <보기1> 이거 얼마 만인가? / 집 떠난 지 3년 만에 돌아왔다. ☞ “동안”의 뜻. 의존명사 ※‘오랜만에, 오랫동안’의 구별에 주의 <보기2> 철수만 오다 / 공부만 하다 ☞ “한정”의 뜻. (보조사) <보기3> 형만 한 아우 없다 / 짐승만도 못하다 / 호랑이만 하다.. ▒ 교육◈/◐우리말 2016.02.26
‘안’ ‘못’ 붙여쓰기 부정문일 때 띄어쓰기 ‘안’ ‘못’ 띄어쓰기 ※부정문으로 쓰인 경우가 아니면 붙여 쓴다. <보기1> 마음이 안되다 / 시험에 실패했다니 참 안되었다. (형용사) <보기1-1> 일이 안 되다 / 시간이 아직 안 되었다. <보기2> 못된 친구 / 행동이 못되다 / 심보가 못되다 (형용사) <보기2-1> 외교관이 못 .. ▒ 교육◈/◐우리말 2016.02.26
<중> 띄어쓰기 <회의중>인가, <회의 중>인가 한 단어로 굳어진 경우가 아니면 ‘중(中)’을 띄어 씀. <보기1> 학생 중에, 꽃 중의 꽃 <보기2> 회의 중에는 사담을 하지 말 것, 다리를 건설 중이다 <보기2-1> 지금 [중요한 회의] 중이오니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 ※구 뒤에 ‘중’이 붙는.. ▒ 교육◈/◐우리말 2016.02.26
<그동안> 붙여쓰기 <그 동안>인가, <그동안>인가 ‘고등 학교, 그 동안, 전라 북도, 솔선 수범, 금수 강산, 태백 산맥, 의존 명사’ 띄어쓰기? <보기1> 초등학교/고등학교, 그동안, 전라북도, 솔선수범, 금수강산, 태백산맥, 의존명사 같이 붙여 씀. ※‘그간, 그사이’와 동의어로 쓰이는 ‘그동안.. ▒ 교육◈/◐우리말 2016.02.25
<-어지다> <-어하다>붙여쓰기 <-어지다> <-어하다>의 띄어쓰기 <보기1> 이루어지다, 예뻐지다, 잘 만들어졌다 ※‘-어지다’,‘-어하다’는 앞말의 품사를 바꾸는 경우가 있어 일률적으로 붙여 쓴다. <보기2> 행복해하다, 애통해하다 ▒ 교육◈/◐우리말 2016.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