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等)> <및> <들> 의존명사-띄어쓰기 보조사-붙여쓰기 <등(等)> <및> <들> 띄어쓰기 ※‘등(等)’은 의존명사이므로 항상 띄어 쓴다. <보기1> 책상, 걸상 등이 있다. <보기2> 사장과 이사장 및 이사들 ※‘및’과 ‘와/과’의 차이: ‘와/과’는 앞말과 뒷말이 대등할 때 쓰이나, ‘및’은 앞말이 뒷말에 비해 중심이 될 때 쓰.. ▒ 교육◈/◐우리말 2016.02.25
제 6 장 그 밖의 것 ( 제51항 , 제52항 , 제53항 , 제54항 , 제55항 , 제56항 , 제57항 ) 제51장 부사의 끝음절이 분명히 '이'로만 나는 것은 '-이'로 적고, '히'로만 나거나 '이'나 '히'로 나는 것은 '-히'로 적는다. 1. '이'로만 나는 것 가붓이 깨끗이 나붓이 느긋이 둥긋이 따뜻이 반듯이 버젓이 산뜻이 의젓이 가까이 고이 날카로이 대수로이 번거로이 많이 적이 헛되이 겹겹이 .. ▒ 교육◈/◐우리말 2016.02.25
제 4 절 고유 명사 및 전문 용어 ( 제48항 , 제49항 , 제50항 ) 제48항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 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어, 관직명 등은 띄어 쓴다. 김양수(金良洙) 서화담(徐花潭) 채영신 씨 최치원 선생 박동식 박사 충무공 이순신 장군 다만, 성과 이름, 성과 호를 분명히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띄어 쓸 수 있다. 남궁억/남궁 억 독고준/독.. ▒ 교육◈/◐우리말 2016.02.25
제 3 절 보조용언 ( 제47항 ) 제47항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ㄱ을 원칙으로 하고, ㄴ을 허용함) ㄱ ㄴ 불이 꺼져 간다.불이 꺼져간다. 내 힘으로 막아 낸다. 내 힘으로 막아낸다. 어머니를 도와 드린다. 어머니를 도와드린다. 그릇을 깨뜨려 버렸다. 그릇을 깨뜨려버렸.. ▒ 교육◈/◐우리말 2016.02.25
제 2 절 의존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및 열거하는 말 등 ( 제42항 , 제43항 , 제44항 , 제45항 , 제46항 ) 제42항: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아는 것이 힘이다. 나도 할 수 있다. 먹을 만큼 먹어라. 아는 이를 만났다. 네가 뜻한 바를 알겠다. 그가 떠난 지가 오래다. 맞춤법 42에 관한 풀이 [참고] 의존 명사 명사는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아래의 (1)에서 밑줄 그은 "철수, 책, 사람"은 구체.. ▒ 교육◈/◐우리말 2016.02.25
제 1 절 조사 ( 제41항 ) 제41항: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쓴다. 꽃이꽃마저 꽃밖에 꽃에서부터 꽃으로만꽃이나마꽃이다 꽃입니다 꽃처럼 어디까지나 거기도멀리는 웃고만 맞춤법41에 관한 풀이 [제41항] 체언과 조사의 붙여 쓰기 원칙적으로는 조사는 독립된 단어로 다루므로, 체언과 조사는 띄어 써야 한다. 그러.. ▒ 교육◈/◐우리말 2016.02.25
제 5 장 띄어쓰기 제 5 장 띄어쓰기 제 1 절 조사 ( 제41항 ) 제 2 절 의존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및 열거하는 말 등 ( 제42항 , 제43항 , 제44항 , 제45항 , 제46항 ) 제 3 절 보조용언 ( 제47항 ) 제 4 절 고유 명사 및 전문 용어 ( 제48항 , 제49항 , 제50항 ) ▒ 교육◈/◐우리말 2016.02.25
제 5 절 준말 ( 제32항 , 제33항 , 제34항 , 제35항 , 제36항 , 제37항 , 제38항 , 제39항 , 제40항 ) 제32항: 단어의 끝 모음이 줄어지고 자음만 남은 것은 그 앞의 음절에 받침으로 적는다. 본말 준말 기러기야 기럭아> 어제그저께 엊그저께 어제저녁 엊저녁 본말 준말 온가지 온갖 가지고, 가지지 갖고, 갖지 디디고, 디디지 딛고, 딛지 맞춤법32에 관한 풀이 [제32항] 끝모음이 줄어지고 .. ▒ 교육◈/◐우리말 2016.02.25
제 4 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는 말 ( 제27항 , 제28항 , 제29항 , 제30항 , 제31항 ) 제27항: 둘 이상의 단어가 어울리거나 접두사가 붙어서 이루어진 말은 각각 그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국말이 꺾꽂이 꽃잎 끝장 물난리 밑천 부엌일 싫증 옷안 웃옷 홀아비 홑몸 흙내 값없다 겉늙다 굶주리다 낮잡다 맞먹다 받내다 벋놓다 빗나가다 빛나다 새파랗다 샛노랗다 시꺼멓다 싯.. ▒ 교육◈/◐우리말 2016.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