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V•동영상◈/◐시사♡교양◑ 706

윤선도(尹善道, 1587년~1671년),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윤선도가 지은 연시조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1651년(효종 2)에 윤선도(尹善道 : 1587~1671)가 지은 연시조 윤서도가 65세 때 벼슬을 그만두고 전라남도 보길도 부용동에 들어가 한적한 나날을 보내면서 지은 노래. 세상에서 벗어나 아름다운 자연과 한몸이 되어 강호한정(江湖閑情)에 빠지는 것이 주제다. 4계절을 ..

♣학자의 고향 -퇴계, 청량에 길을 묻다♣ 2011.01.02

♣학자의 고향 -퇴계, 청량에 길을 묻다♣ 조선 중기 4임금을 모시며 79번 벼슬을 사양했던 조선 최고의 성리학자 퇴계이황 퇴계는 벼슬대신 청량산을 돌아가고 싶어했다 그가 그리워하고 사랑했던 청량산 벼슬 대신 퇴계가 진정으로 추구했던 것은 무엇이었을까? 퇴계는 청량산에서 무..

[여행]퇴계 예던길- 아니 예고 어이리/주간경향

고인(古人)도 날 못 보고 나도 고인 못 뵈/고인을 못 뵈어도 예던 길 앞에 있네/예던 길 앞에 있거니 아니 예고 어이리 -이황 ‘도산십이곡’ 중 제9곡 도산서원 퇴계 이황(1501~1570)은 50세에 관직을 물리고 고향 도산으로 돌아왔다. 간간이 나라의 부름을 끝까지 물리칠 수 없어 부임과 사임..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이기론(理氣論)-사칠이기논쟁(四七理氣論爭)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 [사단칠정]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은 이황과 기대승의 성리학 논쟁을 말한다. 사단(四端)이란 유학의 인성론에서, 인간은 본질적으로 선하다는 단서를 보여주는 네가지 덕목을 말하며, 칠정(七情)이란 인간이 지닌 7가지 감정을 말한다 사단(四端)은 맹자의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