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우당(綠雨堂) 녹우당(綠雨堂) 해남 윤씨의 종가이다. 윤선도의 4대 조부인 효정(호는 어초은(漁樵隱) 1476~1543)이 연동(蓮洞)에 살터를 정하면서 지은 15세기 중엽의 건물이다. 사랑채는 효종이 스승인 윤선도에게 하사했던 경기도 수원집을 해상 운송하여 이곳에 이전하여 녹우당이란 이름을 붙였다. 지.. ▒ TV•동영상◈/◐시사♡교양◑ 2011.03.22
어부사시사 윤선도(尹善道;1587-1671) 다음 지식 윤선도(尹善道;1587-1671) 조선 중기의 시인이자 문신. 호는 고산(孤山). 선조-현종 때의 문신, 효종의 스승. 우리 시가 사상 단가의 제 1인자. 정철, 박인로와 더불어 조선 시대 3대 시가인으로 불리움. 광해군 때는 이이첨의 횡포를 탄핵하는 등 강직한 성격으로 여러 차례의 유배 생활을 하.. ▒ TV•동영상◈/◐시사♡교양◑ 2011.03.21
윤선도(尹善道, 1587년~1671년),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윤선도가 지은 연시조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1651년(효종 2)에 윤선도(尹善道 : 1587~1671)가 지은 연시조 윤서도가 65세 때 벼슬을 그만두고 전라남도 보길도 부용동에 들어가 한적한 나날을 보내면서 지은 노래. 세상에서 벗어나 아름다운 자연과 한몸이 되어 강호한정(江湖閑情)에 빠지는 것이 주제다. 4계절을 .. ▒ TV•동영상◈/◐시사♡교양◑ 2011.03.21
우이산(武夷山,무이산) 우이산(武夷山,무이산) 중국 푸젠 성에 있는 대왕산을 중심으로 한 산맥의 총칭으로 장시 성과 푸젠 성에 걸쳐있다. 구이린과 비견되는 명승지로서 유명하고, 중국인이 평생 한번은 찾고 싶다는 명소이기도 하다. 1999년 이후 유네스코의 세계복합유산에 등록되었다. 지리적으로 평균 350m .. ▒ TV•동영상◈/◐시사♡교양◑ 2011.03.21
주희 -주자 주희(朱熹, 1130~1200) 주희는 중국 남송의 유학자로, 주자(朱子)라는 존칭으로도 불린다. 성(姓)은 주(朱), 휘(諱)는 희(熹)이며, 자(字)는 원회(元晦) · 중회(仲晦)이다. 그리고, 호(号)는 회암(晦庵) · 회옹(晦翁) · 운곡노인(雲谷老人) · 창주병수(滄洲病叟) · 둔옹(遯翁)이다. 중국 .. ▒ TV•동영상◈/◐시사♡교양◑ 2011.03.21
24절기유래 24절기의 유래와 시기 인간이 월력(月曆)을 만든 가장 큰 이유는 계절의 변화를 기록하기 위해서입니다. 농경사회에서는계절의 변화에 민감할 수 밖에 없는데 농사를 짓기위해 씨를 뿌리고 추수를 하기에 가장 좋은 날씨를 알아야 했기 때문입니다. 음력의 24절기도 이런 바탕에 근거하고.. ▒ TV•동영상◈/◐시사♡교양◑ 2011.03.21
정도전(鄭道傳) 1342(충혜왕 3)~1398(태조 7). 정도전(鄭道傳) 1342(충혜왕 3)~1398(태조 7). 고려말 조선초의 정치가·학자. 조선 개국의 핵심 주역으로서 고려 말기의 사회모순을 해결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하여 새로운 왕조를 개창했다. 각종 제도의 개혁과 정비를 통해 조선왕조 500년의 기틀을 다져놓았다. 본관은 봉화(奉化). 자는 종.. ▒ TV•동영상◈/◐시사♡교양◑ 2011.03.21
♣학자의 고향 -퇴계, 청량에 길을 묻다♣ 2011.01.02 ♣학자의 고향 -퇴계, 청량에 길을 묻다♣ 조선 중기 4임금을 모시며 79번 벼슬을 사양했던 조선 최고의 성리학자 퇴계이황 퇴계는 벼슬대신 청량산을 돌아가고 싶어했다 그가 그리워하고 사랑했던 청량산 벼슬 대신 퇴계가 진정으로 추구했던 것은 무엇이었을까? 퇴계는 청량산에서 무.. ▒ TV•동영상◈/◐시사♡교양◑ 2011.03.21
[여행]퇴계 예던길- 아니 예고 어이리/주간경향 고인(古人)도 날 못 보고 나도 고인 못 뵈/고인을 못 뵈어도 예던 길 앞에 있네/예던 길 앞에 있거니 아니 예고 어이리 -이황 ‘도산십이곡’ 중 제9곡 도산서원 퇴계 이황(1501~1570)은 50세에 관직을 물리고 고향 도산으로 돌아왔다. 간간이 나라의 부름을 끝까지 물리칠 수 없어 부임과 사임.. ▒ TV•동영상◈/◐시사♡교양◑ 2011.03.20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이기론(理氣論)-사칠이기논쟁(四七理氣論爭)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 [사단칠정]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은 이황과 기대승의 성리학 논쟁을 말한다. 사단(四端)이란 유학의 인성론에서, 인간은 본질적으로 선하다는 단서를 보여주는 네가지 덕목을 말하며, 칠정(七情)이란 인간이 지닌 7가지 감정을 말한다 사단(四端)은 맹자의 용어.. ▒ TV•동영상◈/◐시사♡교양◑ 2011.03.20